본문 바로가기
신문스크랩

미국 경찰의 개혁을 위해서는 흑인 경찰의 참여가 필수적이다.

by Major Tom 2020. 9. 5.

기사출처: https://newrepublic.com/article/158951/hell-black-cop

 

The Hell of Being a Black Cop

Why Black officers have to be at the forefront of efforts to transform America’s racist police culture.

newrepublic.com

해당 기사에서는 흑인 경찰이 미국의 경찰 개혁에 가장 앞장서야 하는 이유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있다. 많은 수의 흑인 경찰들이 지역 커뮤니티와 경찰 조직 사이의 괴리를 없애고 인종차별을 뿌리뽑겠다는 정의감으로 경찰 조직에 들어가기는 하지만, 변화를 위한 목소리는 일시적이고 단발적이었고, 공적인 곳이 아닌 사적인 자리에서만 목소리를 내 왔으며, 실제 인종차별적인 상황을 마주했을 때 그러한 정의감이 사그라들기도 했다는 점은 경찰 개혁 동력을 약화시켰다. 물론 경찰 개혁의 실패의 원인을 흑인 경찰에게서 찾는 것이 아니다. 진정한 경찰 개혁을 위해서, 조직적인 인종차별을 뿌리뽑기 위해서는 흑인 경찰관들의 적극적이고 지속적이며 공개적인 참여가 필수적이라는 것이다. 

Davis is worried that the heightened awareness around police reform will not last, even among Black officers. More Black cops are speaking up publicly about the need for change, he noted, but it’s critical that they also speak up in private, in the confines of the station. “The reason I see more Black police officers standing up and speaking out is because white men have given them permission,” he told me, a reference to the growing number of white officers, especially among leadership ranks, openly (and finally) acknowledging institutional racism in law enforcement.
(출처: The New Republic)

- 조직의 높은 자리는 대부분 백인들이 차지하고 있는 상황에서 흑인들이 공개적으로 의견을 내기는 쉽지 않다. 

Davis also noted that history shows that the momentum for reform is usually short-lived. “In the ’60s we had riots over police brutality during the civil rights movement,” he said. “Rodney King was 1992, Mike Brown was 2014. Every 25 years or so, we see this seismic shift. We got about three more months of Black Lives Mattering until it becomes commercialized, sanitized, and popularized—then we bounce back to normal.” (출처: The New Republic)

- 길지 않았던 경찰 개혁 움직임. 흑인에 대한 경찰의 폭력은 60년대부터도 계속 있어 왔지만 근본적인 변화까지는 이어지지 않았다. 

Reform may come from the top. If history is any indication, it also may not. So what do we then? Alex Kueng, the Black officer who held George Floyd’s back while Derek Chauvin pressed his knee into Floyd’s neck, told his mother that he wanted to be a force for good in the Minneapolis Police Department. “That’s part of the reason why he wanted to become a police officer—and a Black police officer on top of it—is to bridge that gap in the community, change the narrative between the officers and the black community,” his mother told The New York Times. But when it mattered the most, when another Black man’s life hung in the balance, Kueng didn’t do the right thing. (출처: The New Republic)

- Alex Kueng은 경찰과 흑인 지역 사회 사이의 괴리감을 줄여보겠다는 정의감을 안고 경찰 조직에 가담했으나 조지 플로이드가 죽어가는 그 상황에서는 무엇이 올바른 것인지 알지 못했다. 

Kueng is proof that Black officers have the same police power as white officers to abuse the bodies, rights, and dignity of civilians, very much including the people in their own community. He is why we call police racism a systemic problem, requiring a systemic solution. Black officers are going to have to be a part of that solution, working together, beyond the good intentions of any individual or any municipal government. They are going to have to recognize that salute-the-flag, stand-for-the-anthem, police-officers-are-all-heroes, performative patriotism that most of their white colleagues like to indulge in is meaningless when those white officers don’t think the Constitution protects their Black families and loved ones. (출처: The New Republic)
They can start now. Specifically, they can offer personal and professional testimony to spur reform legislation. A stronger media presence helps frame issues accurately and prevents the public from being misled by imposing men in uniform (출처: The New Republic)

우리나라에서는 인종차별과 같은 문제가 크게 수면위로 드러나지 않는데, 그 이유는 아마도 대한민국의 구성원이 대부분 인종적으로 동일한 경향이 있고 인종적으로 우월하다는 생각이 지배적이라고 생각하지 않아서였을 것이다. 하지만 대한민국은 더 이상 인종적으로 동일한 나라가 아니다. 수많은 외국인 노동자들과 중국인들이 이 나라에 거주하고 있고, 특히 젊은 인력이 부족한 농촌에서는 대부분의 농부들이 외국인 인력을 고용하고 있으며 국제 결혼도 많이 하고 있다. 또한 서양 사람들과의 비교에서는 잘 드러나지 않지만 중국인이나 동남아 사람들, 혹은 흑인들과 비교할 때는 그들보다 우월하다는 생각이 잠재되어있는 듯하다. 특히 코로나 초창기에는 비합리적으로 중국인에 대해 비난의 말들을 쏟아내기도 했고, 중국인 유학생들에 대한 비이성적인 비판이 종종 대학 커뮤니티에서 많은 인기를 얻곤 했다. 이런 맥락에서 미국의 인종차별 관련 문제는 우리나라의 문제와 크게 동떨어져 있지 않으며, 인종 그 자체에 기반한 차별은 비합리적, 비이성적이라는 점에서 인종차별에 대한 반대는 기타 성차별에 대한 반대, 성적 지향에 대한 반대, 장애인 차별에 대한 반대 등과도 맥을 같이한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