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에쎄이

엘지트윈스 팬인 이유가 뭘까?

by Major Tom 2020. 6. 9.

나는 모태야구팬은 아니다. 오히려 야구에 관심도 없었다. 사실 야구라는 스포츠 종목은 나에게 익숙한 종목은 아니었다. 학교에서 친구들이랑 같이 쉽게 할 수 있었던 것도 아니고 야구 특유의 긴 경기시간이 지루했다. 고등학교 때 열심히 야자시간에 야구를 보던 친구들의 모습은 종종 기억나지만 그것이 나의 모습은 아니었다. 2019년 KBO 시즌이 시작하기 전, 나는 어느 순간 나의 야구팀을 하나 정해야겠다고 마음먹었다. 왜 갑자기 그런 마음을 먹은 것이었을까? 자신만의 스포츠 팀이 있는 친구들이 부럽기라도 했던 걸까? 네이버 스포츠 페이지에서 더 이상 해외축구 종목이 재미가 없어졌던 것일까? 이유가 어떠했던 간에 나의 의지는 확고했고 적당한 팀을 물색하기 시작했다. 

일단 나의 고향은 서울이었으므로 서울 팀 중에서 골라보기로 했다. 현재 KBO에서 서울을 연고지로 가지고 있던 팀은 엘지와 키움, 그리고 두산이었다. 내가 아는 야구 팬들중에는 두산 팬들이 참 많았는데 그 때는 몰랐지만 젊은 층을 상대로 한 두산의 마케팅 실력과 2010년대 후반대 뛰어났던 두산의 성적이 인기가 많았던 비결이었다. 두산 팬을 할까 고민했었지만 모기업이 마음에 들지 않았다. 중앙대학교의 후원 기업이던 두산은 중앙대학교 학생회를 탄압하는 데 상당한 힘을 쏟았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실제로 중앙대학교에 있던 한 단과대 학생회장의 이야기였다. 총학생회 선거 때 교내 곳곳에 스파이를 심어놓아 후보가 선거규칙을 어기는지 여부에 대해 철저히 감시하고, 조금이라도 규칙을 어기는 구석이 있으면 바로 신고하여 선거의 무산을 기도했다고 했다. 또 총학생회 선거에 나중에 두산 기업에 취업시켜준다는 조건으로 어용 후보를 선정하여 그 후보가 당선되게 했다는 소문도 있다. 물론 이것이 사실인지는 알 수 없으나 아니 땐 굴뚝에 연기나랴? 굳이 두산을 선택할 이유가 더 이상 떠오르지 않았다. 키움 증권에 대해서는 특별한 감정은 없었지만 역시 개미들의 돈을 떼어먹는 좋지 않는 이미지가 증권사의 이미지로 내 머릿속에 가장 먼저 떠올랐기에 키움도 선택하지 않았다. 결국 생각보다 좋은 일들을 많이 하고 있지만 사람들에게 잘 알려지지 않았던 엘지가 내 유일한 선택지로 남게 되었다. 엘지가 KBO에서 가장 많은 팬을 가지고 있다는 점도 좋았고, 요즘 성적이 침체기라는 점도 좋았다(침체기에 있는 팀을 응원하면 나중에 올라갈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를 하게 되니까). 

그 때부터 엘지는 나의 팀이 되었고 선수를 하나 하나 알아갈수록 더 정이 가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