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에쎄이

대체 무슨 일을 해야 행복할 수 있을까?

by Major Tom 2020. 1. 22.

전역일이 다가오면서 점점 미래에 대한 생각이 많아지기 시작한다. 사실 전역하려면 아직 11개월이나 남았지만 마음의 시간은 급하다. 벌써 2020년의 1월도 22일이나 지나갔고 하루하루 살다보면 솔직히 2020년도 정말 금방 갈 것 같다. 사회복무요원이기 때문에 시간이 빨리가는 것일지도 모르겠다. 그냥 매일 아침에 일어나서 정해진 시간에 출근하고 프로그램 진행하고 점심먹고 또 프로그램 하고 잠깐 쉬고 저녁에 퇴근하고 저녁먹고 이리저리 시간 보내다 보면 하루라는 시간은 어느새 끝나있다. 미래에 대한 생각을 하면 할수록 지나가는 시간은 주식 투자에서 사라지는 내 돈처럼 아깝게 지나가는데 그렇다고 특별히 의미있게 시간을 보내고 있지 않은 것 같다.

답답해진 요즘에는 아무에게라도 연락해서 나의 고민거리와 인생의 허탈함 등을 털어놓고 위로받고 싶지만 답도 없는 그런 고민에 대한 위로와 답변이라는 부담을 주변사람들에게 전하는 건 민폐일 것이다. 아니면 그 사람들이 나에게 적절한 대답을 줄 수 없는 사람들이라는 생각이 들어서 애초에 얘기를 안하는 것일지도 모르겠다. 맞다. 이게 맞는 것 같다. 내가 원하는 답은 그 누구도 나에게 줄 수 없다. 왜냐하면 내가 결정해야 하는 것이고 결국에는 내가 답을 찾아내야 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스스로 답을 찾아내야 한다는 건 너무 귀찮다. 대한민국 사회에서 주입식 교육을 받고 자랐기 때문에 학생들의 자기 결정력이 떨어진다는 얘기를 종종 듣게 되는데 요즘 더욱 공감하게 되는 것 같다. 물론 자기 결정권을 귀찮다고 미루는 행위에 대한 개인적 책임은 부정할 수 없지만 우리는 우리의 미래를 스스로 결정할 수 있는 연습을 충분히 받지 못했다. 나의 귀차니즘을 사회 구조적인 문제로 환원시키니 한결 마음이 편하다. 그게 답이 아니라는 것을 알면서도.

로스쿨에 갈거다. 변호사가 될 것이다. 하지만 그게 중요한게 아니다. 왜 로스쿨에 갈 결심을 하게 되었을까? 가서 무엇을 하려고? 로스쿨은 절대로 인생의 목표가 될 수 없다. 인생의 목표를 이루기 위한 수단으로 선택한 것이 로스쿨인 것이다. 그렇다면 나의 고민은 이제 ‘무엇을 하며 살 것인가?’, ‘무엇을 해야 행복할 수 있을까?’가 된다. 이 고민을 계속해서 미뤄두다가는 로스쿨에 입학하고 나서도, 변호사가 되고 나서도 이 고민에서 절대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대학교 1-2학년 이후로 인생에서 가장 여유로운 시간인 지금 그 고민을 마쳐야 한다.

솔직히 말하면 부담스럽다. 결정을 하는건 너무 어려운 일이다. 친구들과의 약속 장소 하나도 제대로 결정하지 못하는데 인생의 목표를 결정한다고? 점심시간에 편의점에 가서도 어떤 컵라면을 먹어야할지 몇 분동안 고민하는데 어떤 인생을 살아야 할지 결정해야 한다고? 하지만 결정은 피해갈 수 없을 것이다. 마치 지하철이 11자로 된 철길을 벗어나서는 굴러갈 수 없듯이 말이다.

출근길에 또 신호등과의 눈치싸움에 실패해서 아예 포기하고 천천히 걸어가며 다음에 바뀔 신호등을 기다렸다. 기다리는 동안 보이는 철길의 윗부분은 반짝반짝하다. 매일 정해진 길로만 가야하는 지하철은 수도 없이 같은 철길을 지나면서 오늘도 더 이상 반짝일 수 없는 그 철길을 한번 더 반짝인다.